본문 바로가기

스위치관련

MSTP

피터전 아찌꺼라는거 (LAN 스위칭)


MSTP


Multiple Spanning Tree Protocol


STP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VLAN당 하나씩의 스패닝 트리가 동작한다. 예를 들어, 1000개의 VLAN이 설정된 스위치 네트워크에서는 2초마다 1000개의 BPDU가 전송되어 스위치에 많은 부하가 가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VLAN을 묶어서 그룹별로 스패닝 트리 인스턴스를 동작시키는 것이 MSTP이다.


IEEE 802.1s 정의된 프로토콜


복수개의 VLAN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스패닝 트리를 동작시킨다.


MSTP에서는 인스턴스라고 하는 VLAN 그룹당 하나의 스패닝 트리가 동작하므로 많은 수의 스패닝 트리를 계산할 필요가 없어 스위치의 부하를 줄인다. 예를 들어, 2000개의 VLAN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PVST를 사용하면 스위치들이 2000개의 스패닝 트리를 계산해야한다. 그러나 MSTP를 사용하여 2000개의 VLAN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눈다면 스패닝 트리는 2개만 사용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MSTP가 동작하면 BPDU 전송량도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config)#spanning-tree mode mst

(config)#spanning-tree mst configuration

(config-mst)#name superman(이름지정)

(config-mst)#revision 1 (0~65535)

(config-mst)#instance 0 vlan 1-9 (1-9까지의 vlan을 0이라는 그룹으로 묶는다)

(config-mst)#instance 1 vlan 10-19 (마찬가지로 10-19 vlan을 1이라는 그룹으로 묶는다.)


확인 명령어


show current 동작중인 MST 설정값 확인

show pending 방금 설정한 mst 설정값 확인

show spanning-tree mst configuration @@MST 설정 확인

show spanning-tree mst  @@많은 mst 정보가 나옴